지원 서비스
지원 서비스
지원사업 | 대상 | 지원내용 | 신청/이용방법 | 바로가기 |
---|---|---|---|---|
학교 밖 청소년 직업훈련 심화 인턴십 지원 | 만 15~24세 학교 밖 청소년 (23. 3월 예정) 청소년 작업장 수료자 중 심화 직업역량강화를 원하는 자 |
|
||
청소년 동반자 프로그램 운영 |
|
|
광주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 방문하거나 전화로 상담하고 신청 (의뢰 및 전화문의 : 062-1388) |
|
아픈아이 긴급병원동행서비스(청소년) | ○ (동구) 광주광역시 동구에 거주하는 만4세~18세 이하(신청일 기준) ○ (남구) 광주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만4세~18세 이하(신청일 기준) ○ (북구) 광주광역시 북구에 거주하는 만4세~12세 이하(신청일 기준) |
○ (동구) 갑자기 아프거나 다쳐서 병원치료가 필요할 때 / 예방접종, 정기검진 및 진료, 상담치료 등 - 이용시간 ( 평일 9:30 ~ 17:30 / 접수마감 17:00 ) 주말, 공휴일 제외 - 이용금액 : 무료 (단, 병원비와 약제비 본인부담) - 예치금 3만원 재단 전용 계좌로 선입금, 예치금은 병원비, 약제비로 쓰이며 남은금액은 반납됩니다. - 광주은행 1107-021-529331/(재)광주광역시 여성가족재단 ○ (남구) 갑자기 아프거나 다쳐서 병원치료가 필요할 때 / 예방접종, 정기검진 및 진료, 상담치료 등 - 이용시간 ( 평일 9:30 ~ 17:30 / 접수마감 17:00 ) 주말, 공휴일 제외 - 이용금액 : 무료 (단, 병원비와 약제비 본인부담) - 예치금 3만원 재단 전용 계좌로 선입금, 예치금은 병원비, 약제비로 쓰이며 남은금액은 반납됩니다. - 광주은행 1107-021-788827 /(재)광주광역시 여성가족재단 ○ (북구) 긴급진료 등 병원방문을 필요로 하는 아동의 병원동행 서비스 - 이용시간 ( 평일 9:00 ~ 18:00 / 접수마감 16:00 ) 주말, 공휴일 제외 - 동행지원 : 1일 3타임, 2인 1조 동행 원칙 - 지원시간 : 1) 9:30~11:30 / 2) 13:00~15:00 / 3) 15:30 ~17:30 - 이용금액 : 자부담 1,000원 (단, 병원비와 약제비 본인부담) |
○ (동구) 전화신청 : 062-670-0575/0576 온라인신청 : 광주아이키움플랫폼 ○ (남구) 전화신청 : 062-670-0577/0578 온라인신청 : 광주아이키움플랫폼 ○ (북구) 온라인신청 : 꿈나무사회복지관www.ggumnamu.or.kr →'아픈아이 병원동행서비스'메뉴에서 서비스 신청 → 서비스이용료 입금(1,000원) 이용문의 : 062-267-8058 |
|
신분증 & 할인카드로 사용하는 청소년증 발급 | 만 9세 ~ 만18세 이하 | ● 대중교통 : 버스(고속버스 제외)20~40%, 지하철 20%~40%, 철도 10~50%, 여객선 10~50% ● 궁.릉 입장료 : 면제~10% 내외 ● 박물관 및 미술관, 공원 : 면제~20% 내외 ● 자연휴양림 : 10~50% ● 공연장(자체기획공연) : 30%~50% 내외 ● 유원지 : 30%~50% 내외 ● 영화관 : 1,000원~3,000원 ● 교보문고, 영풍문고 도서구매금액의 10% 할인 ● 놀이공원, 체육시설 이용료 면제 및 할인 |
|
|
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서비스 |
단, 아래의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
* 발달장애인 대신 발달장애인의 가족, 공무원(사회복지전담),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직원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 |
|
사회보장급여(사회서비스이용권) 신청(변경)서 [서식 제1호]와 구비서류를 급여대상 발달장애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/면/동 주민센터 방문하여 신청 |
|
청소년 활동 지원 | 청소년의 역량 개발을 위한 보편적 사업으로 전체 청소년 대상으로 지원 |
지자체 청소년 어울림마당, 청소년 동아리활동 지원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공모사업을 통해 다양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지원
|
광주광역시 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정보 확인 후 신청 문의: 062-234-0755, 0756 |
|
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지원 |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청소년(초4~중3) 대상 |
주중 및 주말(주말체험 및 자기개발활동), 이용료 무료(교재비 및 준비물 일부 수익자부담)
|
관할 수행기관 13개소(광주광역시 및 자치구, 위탁 운영) 등에 방문 또는 전화 신청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