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성장애인 모성보건사업
광주광역시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는 임신 출산 여성장애인의 모성보건사업을 지원합니다.
지원대상
○ 여성장애인 건강 클리닉
- 지원대상 : 임신 준비 및 임신한 여성장애인으로 분만 후 6개월까지 (광주광역시에 거주하며 유산/사산 포함)
※ 담당자 종합적 판단하에 필요시 분만 후 1년까지 서비스 제공 가능
○ 여성장애인 건강관리 교실
- 지원대상 :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장애인 및 가족
○ 여성장애인 자조모임 지원
- 사업기간 : 2025. 4. 7.(월) ~ 2025. 11. 30.(일)
- 접수기간 : 2025. 4. 7.(월) ~ 2025. 4. 18.(금) / 4.28.(월) 선정결과 안내
- 지원대상 :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장애인으로 구성된 자조모임(4명 이상) 3팀 선정
지원내용
○ 여성장애인 건강 클리닉
- 임신 여성장애인 등록 관리(등록 시 출산 선물(10만원 상당) 제공
- 장애유형별 산전 산후관리 및 육아 프로그램으로 찾아가는 1:1 산모교실 운영
- 임신 출산 육아와 관련한 가족 교육 운영
- 전반적인 건강상태 등 보건교육(학대 폭력 등 포괄적 사정 포함), 심리상담 및 진료 의뢰, 전화상담, 통합사례관리와 연결
○ 여성장애인 건강관리 교실
- 장애유형별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교육 프로그램 지원 및 운영
- 임신출산(계획된 임신 준비하기, 모유수유 유방관리 등 임신출산 건강관리, 출산/육아용품 만들기 체험, 영유아 건강관리, 임신출산 여성장애인 지원정책 및 복지서비스)
- 영유아기(이유식 만들기, 영유아기 응급상황 처치, 영유아 건강관리, 자녀 양육기술)
- 청소년기(청소년기 여성 건강관리, 몸의 변화, 성희롱 및 성폭력 예방교육)
- 갱년기(부인과 질환 및 갱년기 예방관리, 증상 관리법, 골다공증 및 비만관리 운동프로그램, 행동 및 정서관리, 암 관리 및 예방법)
○ 여성장애인 자조모임 지원
- 여성장애인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 이용을 돕기 위한 건강 관련상담 및 교육 등/ 모임당 최대 1,500,000원 지원
- 지원비용은 건강 관련 프로그램으로 운영/진행비(강사비, 재료비 등)로만 사용 가능(식비, 다과비 제외)
- 운영방식 : 회기별 활동보고서 제출/ 마지작 회기에 평가회 진행(일정조율 가능)
신청방법
○ 여성장애인 건강 클리닉
- (전화)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062-220-4622 (월~금 9:00~17:00)
- (방문) 전남대학교병원 내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
- (온라인) 광주광역시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홈페이지 →상담→상담신청
○ 여성장애인 건강관리 교실
- (전화)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062-220-4622(월~금 9:00~17:00)
- (온라인) 광주광역시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홈페이지→소식 자료→자료실→서식자료→여성장애인 건강관리 교육신청서 작성 후 메일로 제출(grhmc@naver.com)
○ 여성장애인 자조모임 지원
- (전화)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062-220-4622(월~금 9:00~17:00)
- (온라인) 광주광역시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 홈페이지→소식 자료→공지사항→자조모임 신청서 작성 후 메일로 제출(grhmc@naver.com)

		
	