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애인 수요자와 함께 개발한 보조기기 30여 종 전시 및 협력사례 공유
- 등록일 : 2025-11-03 00:00
 - 작성자 : 박세진B
 - 조회수 : 2
 
장애인 수요자와 함께 개발한 보조기기 30여 종 전시 및 협력사례 공유
- 국립재활원, 2025년 보조기기 메이커 페어 개최(11.3.) -
□ 국립재활원(원장 강윤규)은 11월 3일(월) 피스앤파크 컨벤션(서울 용산구)에서 「2025 보조기기 메이커 페어」를 개최하였다. 이번 행사는 보조기기 개발자, 장애인 수요자, 지역기반 R&SD*, 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함께 참여하여 보조기기 실용화와 사용자 중심 개발 문화 확산을 목표로 마련되었다.
* 지역사회 및 지역 산업의 수요에 기반하여 연구(Research)와 사업화 및 확산(Service & Development)을 연계하여 추진
□ 이번 행사는 ▲보조기기 시제품 전시 부문(수요자 맞춤형 보조기기 연구개발 성과 소개) , ▲보조기기 개발 및 실용화 문화 확산을 위한 발표 부문(지역기반 R&SD·기업·해커톤·대학 수업 연계)으로 구성되어 전시와 교류가 함께 이루어지는 통합형 행사로 운영되었다 (붙임 1 참조).
□ 전시 부문에서는 장애인 수요자와 개발자가 협력해 제작한 보조기기 시제품과 디자인 사례가 공개되어,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함께 소개되었다. (붙임 2 참조).
○ 보건복지부의 「장애인·노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(’24~’28)」을 통해 개발된 ▲충전기를 교체해 사용할 수 있는 조립형 보조기기 ‘손잡이 모듈’, ▲원하는 위치에 보조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‘휠체어 거치대 모듈’, ▲손 사용이 어려운 사용자가 상의 착의(단추·지퍼 등)를 하나의 꾸러미로 수행할 수 있는 ‘옷 입기 보조기기 꾸러미(상의)’ 등 5종의 적정기술 보조기기*가 전시의 중심을 이루었다.
* 의지·보조기, 의료기기에 해당하지 않으며, 메이커스페이스 등의 3d 프린터, 레이저커터 등 지역 내 장비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수준의 보조기기
○ 또한 지역기반 R&SD 수행기관에서 ▲‘안면마우스’(광주과학기술원/호남권역), ▲‘휠체어 전동클리너’(나사렛대학교/충청권역), ▲‘손가락 터치 보조기기’(계명대학교/경상권역), ▲‘한 손 키보드’(동서울대학교/경기권역) 등 각 지역 장애인 수요자와 협력해 개발한 23종의 보조기기 성과물을 소개하였다.
○ 이와 함께, 보조기기 해커톤에서 수상한 팀의 시제품 3종(여성장애인 생리혈 교체 알림 보조기기, 지능형 샤워기, 위치 조절 세면대)이 전시되어 보조기기 분야의 아이디어 혁신성과 사업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.
○ 대학 수업 연계 포스터 전시에서는 5개 대학이 참여해 총 23종의 작품을 선보였다.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직접 보조기기를 개발·디자인하거나 실증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제작된 포스터를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와 사회적 가치를 공유하였다 (붙임 3 참조).
□ 발표 세션에서는 연구·산업·교육이 연계된 다양한 협력 사례가 공유되었다.
○ 지역기반 R&SD 분과에서는 각 기관의 협업 사례가 발표되어 지역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과 보급의 가능성을 모색했으며, LG전자 선행디자인팀은 ‘LG 컴포트 키트’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계의 유니버셜 디자인 적용 사례를 공유하였다.
○ 보조기기 해커톤 분과에서는 제6회 수상팀이 창의적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, 보건복지부장관상(대상)과 국립재활원장상(최우수상·우수상)이 수여되었다 (붙임 4 참조).
○ 대학 수업 연계 세션에서는 현장 투표를 통해 우수사례를 선정하고, 보조기기 개발 문화 확산에 기여한 참여자에게 감사패가 수여되었다.
□ 국립재활원은 앞으로도 열린플랫폼(https://nrc.go.kr/at_rd)을 통해 국민 누구나 개발된 보조기기의 설계도와 제작 정보를 무료로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있으며, 상용 판매가 아닌 공공의 보조기기 접근성 확대에 앞장설 계획이다.
< 붙임 > 1. 2025년 보조기기 메이커 페어 포스터
2. 성과 전시 품목
3. 대학 수업 연계 포스터 목록
4. 해커톤 수상자 명단
5. 용어 설명


